
Github_project작업 항목을 카드 형태로 보드에 추가하고, 해당 항목의 상태를 표시하여 프로젝트를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이슈와 결합되어 작업의 진행 상태를 간편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워크플로우 기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작업을 처리하고 필요한 작업들을 설정할 수 있다사용자에 맞춰 테이블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Project 생성Milestone 생성Project 티켓 생성issue 작성티켓 설정 마무리Project Public으로 변경티켓 상세 정보 추가, 공개하기프로젝트 Branch 생성Branch 자동 삭제* 창을 두 개 띄워놓고 하나는 마일스톤, 하나는 프로젝트 생성 할 것, 기본 설정 시 프로젝트 생성 > 마일스톤 생성 > 티켓생성 > 이슈작성 순서로 보는 것을 권장한다왜? 어차피 ..

Github_issue프로젝트의 작업, 개선 사항 및 버그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며, 프로젝트 기획, 새롭게 추가될 기능, 버그와 수정사항 모든 것을 이슈라고 할 수 있다. 모든 활동 내역에 대해서 이슈를 등록하고 등록한 이슈를 기반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. issue template 생성issue 작성Milestone 확인하는 방법Pull requests template 생성Pull requests 작성Reviewissue template 생성 프로젝트 Settings Features > set up templates Add templates select > Custom templates Preview and edit Issue: Custom issue template 옆에 연필모양으로 수정..

협업자 등록하기 (레포지토리 생성자만 등록가능)생성된 레포지토리 > Settings > Collaborators > Add people > 메일 또는 유저네임으로 추가초대된 팀원은 초대메시지 또는 메일로 초대 수락할 것 내 코드를 git repository로 업로드하기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urlgit branch -M maingit push -u origin main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url : 코드 업로드할 github 레포지토리 주소git branch -m 브랜치명 : Master에서 레포지토리 브랜치로 이동git push -u origin 브랜치명 git push 업로드 시 git push origin main으로 입력해야 하지만, -u..

git init : 기록 전, 초기화 (초기세팅)정확한 프로젝트 폴더에서 입력해야함 (바탕화면에서 입력할 경우 전체 파일, 폴더가 기록됨)프로젝트 시작 전 딱 한번만 입력하면 됨입력 후 ls -a (전체 파일 리스트) 입력 .git폴더 확인 git add 파일명 : 저장할 파일 지정git add . : 현재 폴더의 모든 파일 지정 (commit 된 파일 제외) git commit -m " commit메시지 작성 " : 코드 저장계정 설정이 안 돼있을 경우 아래 이미지처럼 뜬다Name에는 이름을, Email에는 Github에 등록된 이메일 입력하면 등록 완료github 우측 프로필 아이콘 - Settings - 좌측 메뉴 Emails에서 등록된 이메일을 볼 수 있다 git status : 파일 상태 ..
Git 이란 형상관리 도구로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추적, 통제하는 것 pwd : 현재 내가 작업하는 폴더의 위치 확인 ls : 현재 폴더 안에 있는 폴더, 파일 내역 보기 ls -a : 내 pc에 있는 모든 폴더, 파일 보기 cd : 폴더로 이동예시 / (Desktop 에서 git_test로 이동시) cd git-test* ~ (root 최상위 폴더) mkdir : 폴더 생성 touch : 설정한 이름의 파일이 없을 경우 새 파일 생성이미 파일이 있을 경우 마지막 수정일자 변경(날짜, 시간) 내일배움 캠프에 대한 각오. 내일배움 캠프는 짧은 기간에 많은 것을 배우는 만큼 분명히 힘들고 지칠 때도 있겠지만, 그 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하는 경험을 잘 활용해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