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JavaScript문법 1주 차

 

 

변수 선언

  • var : ES6 이전 많이 사용하였다, 변수의 재선언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오류가 생길 수 있다
  • let : var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변수의 재선언이 불가하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.
  • const : 상수, 변하지 않는 값이다 문자열일 경우 가독성을 위해 대문자로 작성한다

 

문자열 함수

  • concat : 문자열 결합하기
let str1 = "Hello ";
let str2 = "World ";
let result = str1.concat(str2);
console.log(result);
  • substring, slice : 문자열 자르기
let str3 = "Hello World";
console.log(str3.substring(0,5)); // (시작위치, 잘라낼 문자 수)
console.log(str3.slice(6,12)); // (시작위치 , 종료 위치)

 

  • split : 문자열 분할, 특정 문자열을 기준으로 분할하여 문자열을 배열로 변환한다 분할 기준은 공백으로 반환된다.
  • 구분자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(' ') 문자열이 한 글자씩 배열에 요소로 들어간다
let str6= "apple, banana, kiwi";
let result2 = str6.split(",") // ("분할 기준")
console.log(result2);
  • search : 문자열 검색
let str4 = "Hello World";
console.log(str4.search("o")); // "o" 의 위치 반환
  • replace : 문자열 대체
let str5= "Hello World";
console.log(str.replace("World","안녕")); // ("변경 전 문자" , "변경 후 문자")

 


삼항 연산자

  • 삼항 연산자 : 조건에 따라 값을 선택한다
  • 조건식 ? true일 때 결과 값 : false일 때 결과값 (조건문에 맞는 결과값의 순서 헷갈리지 않게 조심할 것)
  • 예시 / 조건 : b는 5보다 크다, 결과는 "크다" 가 반환되어야 함
let b = 10;
let result = (b > 5) ? "크다" : "작다"; // true는 앞의 값을 false는 뒤에 값을 반환한다
console.log(result);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